본문 바로가기

SK네트웍스 Family AI캠프 10기/단위 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1. 전국 자동차 등록 현황 및 기업 FAQ 조회 시스템

0. Github

 

 

 

1. 프로젝트 일정

 

 

1-1. 화면 설계 (2025. 01. 20 - 21)

 

  • 각 화면별 기능 정의

 

  • 기능 구현 기술 스택 정의

 

 

1-2. 데이터베이스 정의 (2025. 01. 20 - 21)

 

  • 화면 출력 데이터 ERD 정의

 

  • 해당 테이블에 저장할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수집 방법 정의

 

 

1-3. 화면 구현 (2025. 01. 22 - 23)

 

  • 담당 화면 분배

 

  • 화면별 완성 일정 정의

 

 

1-4. 통합 테스트 (2025. 01. 24)

 

  • 화면 설계서 내용 바탕 테스트

 

  •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2. 프로젝트 회고

 

 

2-1. 담당 역할

 

팀장(프로젝트 총괄) 및 지역별 자동차 등록 현황 페이지(차트) 개발


2-2. 사용 기술 스택

 

Python

  • streamlit
  • pandas
  • plotly

 

 

2-3. 프로젝트 담당 업무

 

프로젝트 관리

  • 프로젝트 개요 작성
  • 프로젝트 일정 관리
  • 팀원 역할 분배
  • 회의 진행
  • 프로젝트 폴더 구조 구축

 

지역별 자동차 등록 현황 페이지(차트) 개발

  • 페이지 구현: streamlit
  • 데이터 정제: pandas
  • 차트 구현: plotly

 

테스트 진행

  • 형상 관리: Git
  • 단위 테스트
    • Database 저장 Python 파일 함수화 후, 페이지 개발 파일에 추가
  • 통합 테스트
    • 파일 경로 수정
    • FAQ 검색 오류 수정

 

 

2-4. 회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항상 팀원의 역할로만 참여를 했었는데, 이번에 팀장을 맡게 되었다. 팀장이 힘들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신경 써야 할 일이 많아 좋은 경험이 되었다. 팀장은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을 관리해야 하고, 역할 분배를 하고, 팀원 간의 의사소통에도 신경을 써야 했다. 그리고 git 브랜치들의 관리를 맡아 merge를 진행하며 conflict가 일어나면 이를 해결해야 했다. git을 전에도 써보긴 했지만 내가 주도해서 관리를 한 것은 처음이었기에 많이 부담되었지만 생각보다는 괜찮았던 것 같다. 그리고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며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원들의 코드를 보며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좋은 프로젝트가 된 것 같아 만족스러웠다.